알뜰폰 부가통화 개념, 추가 요금 요율
알뜰폰 개통 시 부가통화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잘 모르고 아무 요금제를 사용하면 요금폭탄을 맞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개념을 정확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가통화란?
부가통화란 '음성통화' 외에 별도의 요금이 청구되는 번호로 거는 통화를 뜻합니다.
영상통화도 부가통화에 속합니다.
부가통화 번호
- 전국대표번호(15xx, 16xx, 18xx로 시작하는 번호)
- 개인번호서비스 : 050, 0505, 0506 등
- 정보제공서비스 : 030, 060
- 주파수 공용 통신망 서비스 : 0130, 1666, 011-200, 011-700, 지역번호+153, 지역번호+141, 지역번호+700 등
알뜰폰 요금제 주의사항(부가통화)
알뜰폰 요금제를 고르다보면 위 이미지처럼 음성통화는 '기본제공'에 별도로 영상/부가 혹은 부가통화 xxx분 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만약 부가통화가 없다면? 이를 제공하지 않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고객센터에 별도의 문의를 하셔서 확답을 받거나 가급적 그 요금제는 선택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실수로 영상통화를 하시거나 일이 있어서 고객센터 같은 곳에 전화를 걸면 음성통화와는 별도 요금이 부가되는데 생각보다 높은 요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부가통화 요금은 얼마?
항목 | 요율 |
데이터 | 22.5 원/MB |
음성통화 | 1.98 원/초 |
영상통화 | 3.3 원/초 |
SMS(80byte/한글 40자 이하 단문메시지) | 22 원/건 |
LMS(80 ~ 2,000byte/한글 1,000자 이하 장문메시지) | 33원/건 |
MMS_텍스트(2,000byte 초과하는 장문메시지) | 33원/건 |
MMS_멀티미디어(이미지,소리 등이 첨부된 문자메시지) | 110원/건 |
위 요율표는 모든 통신사에 적용되는 요율표는 아닙니다. 통신사, 통신망에 따라 큰 차이는 아니더라도 이 요금보다 조금 더 받는게 일반적입니다.
1초당 요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1분, 5분, 10분 무심결에 전화를 걸다보면 한 달에 추가요금이 만원 가까이 나왔다는 분들의 후기도 많습니다.
위 항목에 부가통화가 표시가 되어 있지는 않지만 통신사 홈페이지를 몇군데 돌아다녀본 결과 고객센터 같은 곳은 '음성통화' 요금으로 부과되는것 같습니다.
부가통화 차감 기준
부가통화 차감 기준이 전화를 거는 순간 부터인지, 상대방이 전화를 받은 후부터 인지는 검색을 아무리 해봐도 말이 달랐습니다. 죄송합니다 ㅜ
내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야만 요금이 발생하고 상대방이 나에게 전화를 건 경우는 요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 외 알뜰폰 개통 시 Tip
- 명의도용을 통한 불법 개통이 빈번합니다. '엠세이퍼'를 통해 차단할 수 있습니다.
-엠세이퍼를 통해 내가 가입한 통신사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알뜰폰 요금제는 대부분 '약정'이 없습니다. 때문에 더 저렴하고 좋은 요금제로 수시로 갈아타는데 '90일간 번호이동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이를 정확히 알고 요금제 이동을 하셔야 합니다.